예술경영지원센터 ‘2019-2023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사업 성과사례집’ 발간
5년간 총 244개 화랑, 476명 작가 지원… 누적 판매 성과 61억원에 달해
본문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대표 문영호, 이하 예경)는 신진작가의 안정적인 창작 환경을 제공하는 예비 전속작가 지원사업 시행 5주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담은 ‘2019-2023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사업 성과사례집’을 8월 1일 발간했다.
‘예비 전속작가제’는 중소 화랑의 전속작가 발굴·육성을 지원해 미술시장에서 젊고 유망한 작가들이 화랑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부터 다년(3년) 지원 체계를 도입해 2023년에 선정된 화랑(65개) 및 전속작가(100명)는 2025년까지 계속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사례집은 ‘예비 전속작가제’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래픽을 활용해 사업 개요와 성과를 정리했고, △최근 미술시장의 변화와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 효과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사업의 성과와 의의 △참여 화랑 및 작가 좌담회 △작가의 주요 이력 및 최근 신작 이미지를 도록 형태로 배치했으며 △연도별 참여 화랑 및 작가명단을 함께 수록했다.
◇ 2019~2023 5년간 총 244개 화랑, 476명 작가 지원
지난 5년간 진행된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사업에 총 244개 화랑, 476명의 전속작가가 참여했다. 사업은 미술대학을 갓 졸업한 신진작가들이 화랑과의 전속 계약을 통해 미술시장에 진입하고, 안정적인 창작 환경에서 만드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 받는다. 특히 지원 종료 후에도 전속 계약 유지율이 48.3%에 달하는 등 소기의 성과도 달성했다.
2023년 지원사업에 선정된 우한나 작가는 9월에 개최될 세계적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의 첫 아티스트 어워드에 선정돼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 우수 전속작가 기획전시에 기업 연계 후원까지 전방위적 후속 지원 강화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사업은 화랑과 작가 간 전속 계약을 지원할 뿐 아니라 매년 우수 화랑과 작가를 선발해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등에서 기획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현재까지 화랑 27곳, 전속작가 61명이 참여했다. 2023년에는 8월 25일부터 9월 9일까지 성수 플래그십에서 ‘DIALOGUE: Mind Map’ 전시를 개최하고 한국 미술시장을 이끌어갈 차세대 유망작가 김재민이, 신준민, 조종성 등 13인의 회화, 미디어, 조각, 설치 작품 등 80여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한국메세나협회와 MOU를 체결해 ‘1기업 1미술작가 지원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1기업 1미술작가 지원사업’은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사업에서 선정된 우수 작가를 기업과 1:1로 매칭해 선정 작가에게 기업이 3년간 창작지원금을 매년 500만원씩 지원하는 사업이다. 현재까지 총 7명의 작가를 지원했고, 올해도 참여할 기업을 모집하고 있다.
예경 문영호 대표는 “최근 미술시장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젊은 신진작가들이 진입하기에 쉬운 환경은 아니다. 신진작가와 중소 화랑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미술시장을 건강하게 만들고, 더 나아가 전 세계에 K-미술을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19-2023 예비 전속작가제 지원사업 성과사례집’은 예경 누리집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
[엔터] K-POP의 진화, 세계를 홀린 ‘데몬 헌터스’
-
[문화일반] 국립현대미술관, “도로 위 미술관” 선보여
-
[영화] MMCA 필름앤비디오 《로버트 비버스: 2025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인디비주얼》 개최
-
[문화일반] 6천 원 할인받고 시원한 여름나기” 전국 영화관 입장권 450만 장 할인 이벤트 실시
-
[엔터] NCT 도영 ‘곧장기부’ 통해 자립준비청년 및 보호대상아동 지원에 1억원 기부 공약 실천
-
[엔터] BTS 다큐멘터리 ‘방탄소년단 아미: 포에버 위 아 영’ 7월 30일 개봉
-
[엔터] 부산 배우 연기 열전… 부산영상위원회, BMDB 배우 셀프테이프 제작 영상 공개
-
[엔터] 이광수·장도연, 무협세계로 시간여행… 열혈강호: 귀환 광고 영상 공개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