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콘텐츠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전통문양 3D 데이터 4,451건 무료 개방
‘문체부 메타버스 데이터랩’과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에서 이용
본문
사진 : 문체부 메타버스 데이터랩 화면캡쳐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정보원(원장 홍희경, 이하 문정원)과 함께 4월 7일(금), 누구나 저작권 걱정 없이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전통문양 3D 데이터 4,451건을 구축해 ‘문체부 메타버스 데이터랩(www.culture.go.kr/datametaverse)’과 전 세계 콘텐츠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3D 제작 작업도구 ‘언리얼 엔진’의 마켓플레이스(www.unrealengin.com/marketplace)에서 무료로 개방한다.
한류열풍으로 OTT에서 <킹덤>, <오징어게임>과 같은 K-콘텐츠가 인기를 얻으면서 세계적으로 우리 전통문화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지난해부터 문체부와 문정원은 ‘전통문양 활용 메타버스 콘텐츠 구축 사업’을 추진해 매년 전통문양 3D 데이터를 구축하고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영화와 게임 등 콘텐츠를 제작하고자 하는 창작자들은 무료로 제공된 전통문양 3D 데이터를 활용해 가상세계에서 다양한 한복, 한옥 등 전통 소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전통문양을 활용한 게임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전통문양 재질부터 관아·한옥, 석탑, 전통 의복, 게임 효과 등 4,451건 구축
이번에는 전통문양 데이터(2506건)를 비롯해 ‘제주목 관아’를 모델로 한 조선시대 관아, ‘창원의 집’을 모델로 한 한옥, ‘수내동 가옥’을 모델로 한 초가집과 같은 건축물 객체(625건), 전통 의복, 악기, 석탑 등의 사물 객체(70건) 데이터를 함께 개방한다. 또한 게임 콘텐츠 제작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현상 표현(250건)* 효과와 가상세계에서 스티커처럼 쓸 수 있는 데칼(1000건)**도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통문양 3D 데이터는 4월 중에 또 다른 3D 제작 작업도구 유니티 엔진(Unity Engine)의 ‘에셋 스토어’를 통해 추가로 개방한다.
문체부 정향미 문화정책관은 “전통문양 3D 데이터 개방으로 K-콘텐츠 제작자들이 가상세계에서도 전통문화를 활용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이를 계기로 전통문화가 다양한 장르와 융합하여 그 지평을 확장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
[문화일반] 클로이수, 메종&오브제 2025 한국 대표 브랜드로 참여… 세계 무대에서 ‘K-럭셔리 아트’ 위상 높여
-
[전시] 이은경 작가, 국내 최초 ‘불가리아국제유리비엔날레’ 3회 연속 선정
-
[전시] 나은미 개인전 《Once Upon a Dream》 개최
-
[전시] 문보리 개인전 《시간의 소리, 감각의 파동》 개최
-
[문화일반] 한국도자재단 캐릭터 ‘토야’, 2025 대한민국 지자체ㆍ공공 캐릭터 페스티벌 특별상 수상
-
[전시] 정연연 개인전 《나를 향한 시간성》 개최
-
[문화일반] 2025 APEC 정상회의 기념, 국회 AI 아트 영화제 성대한 개막… K-아트의 미래를 열다
-
[전시] 서소영 개인전 《SAVE POINT》 개최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