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카라서 열린 《아리랑 실크로드》…문화 외교의 새 지평
빛과 진리, 그리고 아리랑…한·튀르키예 예술 교류의 장
본문
2025년 8월 8일, 튀르키예 앙카라에 위치한 주튀르키예 한국문화원에서 《아리랑 실크로드: 존재의 초월(Arirang İpek Yolu: Varlığın Aşkınlığı)》 전의 개막식이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이번 전시는 한국 민족의 심층적 정서인 ‘아리랑’을 현대 미술의 언어로 재해석하며, 인류 보편의 감수성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는 미학적 실험으로 평가된다.
2025아리랑 실크로드 존재의 초월 관련(사진 칠곡문화예술위원회)
칠곡문화예술위원회 서세승 위원장의 기획 아래 열린 본 전시는 한국과 튀르키예 작가들의 다국적 협업을 통해 문화 외교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개막식에는 튀르키예 현지의 저명한 예술 관계자들과 문화 애호가들이 대거 참석하여, 이번 전시가 내포한 문화적 중요성을 증명했다. 전승철 주튀르키예 한국문화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한국과 튀르키예 간 예술적 교감의 의미를 강조하며, 양국 문화가 시대를 초월한 깊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음을 피력했다.
‘아리랑’은 단순한 민요적 해석을 넘어, ‘아(나), 리(진리), 랑(빛)’이라는 철학적 축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심원한 예술적 서사로 정의되었다. 이번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아리랑의 심미적 아름다움을 넘어 존재론적 사유를 시각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유의미한 장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한국과 튀르키예 양국의 문화적 화합을 예술적 언어로 구현하겠다는 포부를 담고 있다. 이는 현지 미술 언론계로부터 깊은 사유와 예술적 의지를 높이 평가받는 계기가 되었다.
《아리랑 실크로드: 존재의 초월》 전에는 고금화, 박종태, 이정원, 임미미 등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과 튀르키예 출신 코스쿤 작가가 참여해 ‘아리랑’을 각자의 독자적인 조형 언어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선보였다. 이들 작품은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들며, ‘아리랑’이 지닌 보편적 가치와 인류의 집단 무의식을 심화된 예술적 형태로 시각화했다. 관람객들은 이 전시를 통해 단순한 시각적 유희를 넘어 ‘예술을 통한 아리랑의 이해’라는 심층적 경험을 하게 되었으며, 이는 문화적 소통과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는 탈경계적 시도로 평가된다.
튀르키예 앙카라 파리 거리 74번지에 위치한 주튀르키예 한국문화원에서 2025년 8월 8일부터 9월 5일까지 한 달간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서세승 위원장의 예술적 비전과 리더십이 한국 현대미술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하고, 양국 간 문화 예술 교류의 기념비적인 장을 열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
[전시] 백한승 개인전 《Object in Transition: 존재와 쓰임의 경계에서》 개최
-
[재단/단체소식] 한국도자재단 경기공예창작지원센터, 사업 성과 연계 전시 ‘사물의 기술’ 개최
-
[문화일반] 앙카라서 열린 《아리랑 실크로드》…문화 외교의 새 지평
-
[문화일반] AI와 예술의 융합… ‘APEC 2025 KOREA 기념 AI 아트 영화제’ 9월 개최
-
[전시] 유현미 개인전 《하이브리드 리얼리티》 개최
-
[이주의 전시] 유현미 개인전 《하이브리드 리얼리티》 개최
-
[재단/단체소식]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과 한국열린사이버대 인공지능융합학과 AI 융합센터, 디지털복지 위한 MOU 체결
-
[문화일반]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과 한국열린사이버대 인공지능융합학과 AI 융합센터, 디지털복지 위한 MOU 체결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