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희공방 음마갱깽, 황해도 장연 지역의 꼭두각시 인형극을 복원해 선보인다
12월 27일 금요일 오후 2시 서울 아트코리아랩 시연장 A
본문
연희공방 음마갱깽이 오는 12월 27일 오후 2시 서울 아트코리아랩 시연장 A에서 전통 한국 인형(덜미)극 ‘황해도 장연 지역 꼭두각시극’ 전과장 공연 및 포럼을 선보인다.

황해도 장연 지역 꼭두각시극’ 포스터
전통 인형극의 계승뿐만 아니라 현대적 요소를 접목해 인형극의 한계를 확장하고 대중화하는 데 주력하는 연희공방 음마갱깽은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극 보전과 진흥을 위해 매년 공연을 진행해 왔으며, 올해 4번째 공연을 맞이하게 됐다.
한국의 전통 인형극은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남사당의 꼭두각시놀음, 서산 박첨지놀이, 만석중놀이와 같은 작품들이 대표적이다. 각 인형극은 독특한 문화적, 지역적 배경 속에서 발전해왔다. 특히 꼭두각시놀음은 남사당패가 주도했던 대중 오락으로 잘 알려져 있다.


황해도 장연 인형들과 소도구(사진: 연희공방 음마갱깽)
연희공방 음마갱깽은 이러한 전통을 이어받아 조선 시대 민간 오락에 기록된 ‘황해도 장연 꼭두각시극’을 복원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작품은 우리의 전통 인형극을 계승하고 널리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전통 문화유산을 되살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꼭두각시극’은 황해도 장연 지역에서 전승되던 민속 인형극으로, 총 10장으로 구성돼 있는 옴니버스 형식이다. 주인공 박첨지가 나와 팔도 유람거리를 시작으로 박첨지, 박첨지 딸, 목량청 등의 춤거리로 이어지며, 박첨지와 평안감사가 나와 사회 비판 및 풍자거리를 보여주고, 이시미거리, 상여거리, 전원 춤거리, 절 짓는 거리를 마지막으로 연희 인형극이 마무리된다.
한편 공연뿐 아니라 황해도 장연 지역 꼭두각시극과 관련된 포럼 행사도 마련해 관객들에게 상세한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연희공방 음마갱깽의 음대진 대표는 “현재 남아있는 황해도 장연 지역의 꼭두각시놀음 여섯 개의 인형을 대본을 통해 연구 복원했다”며 “전통 인형극의 복원과 현대적 변화를 결합한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인형극의 계승과 혁신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황해도 장연 지역 꼭두각시극’ 전과장 공연 및 포럼은 12월 27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아트코리아랩 시연장 A에서 열리며, 전석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공연 예매 및 문의는 네이버 예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전시] 민경아 개인전 《틈 Interstice》 개최
-
[공연] 모든 시민 누구나! 비용 없이! <케이팝 싱투게더 콘서트>
-
[공연] 서울나눔뮤직그룹, 제34회 기부음악회 ‘Side by Side’ 개최
-
[공연] 전문예술단체 한국창극원, 제17번째 창작 창극 ‘비둘기낭뎐’ 선보여
-
[공연] 보편적극단의 새로운 해석으로 만나는 입센의 고전 ‘인형의집’, 현대적으로 재창작돼 10월 초연
-
[공연] 피아니스트 황수연 리사이틀, 색채와 열정이 만나는 순간
-
[공연] 청년 음악가들의 새로운 시작… KNSO아카데미, 1년의 여정을 마치다
-
[재단/단체소식] “강동중앙도서관 개관 기념 제16회 강동북페스티벌 개최”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