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무 개인전 《헤테로피아에 대한 단상》 개최 > 이주의 전시

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전시

김형무 개인전 《헤테로피아에 대한 단상》 개최

갤러리 내일, 7.10.(목) -7.23.(수)까지

본문

현실과 비현실, 익숙함과 낯설음 사이에 존재하는 그만의 독특한 공간, ‘사이공간(헤테로토피아)’을 통해 관객에게 묵직한 사유의 시간을 그림으로 소통하는  김형무 작가의 초대전이 2025년 7월 10일부터 7월 23일까지 광화문에 위치한 '갤러리 내일'에서 열린다.

ec1cf9fb512d707f30de3e360d18730e_1752219051_6885.jpg
landscape-nowhere 30호F 캔버스위에아크릴 2021 © 작가, 갤러리 내일 

ec1cf9fb512d707f30de3e360d18730e_1752219051_7437.jpg
landscape-nowhere 50호F 캔버스위에 아크릴 2022  © 작가, 갤러리 내일 


이번 전시는 그만의 독특한 공간, ‘사이공간(헤테로토피아)’을 통해 관객에게 묵직한 사유의 시간을 제공한다.

김형무 작가는 현실의 틀 안에서 규격화되고 조형화된 풍경을 통해, 우리가 의식 속 깊은 곳에서 무의식적으로 꿈꾸는 유토피아적 공간을 시각화했으나 그저 낯선 풍경이 아닌 어디에도 실존하지 않지만 - 누구나 마음속에 품고 있는 풍경, 즉 ‘Landscape-Nowhere’이다.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작업 속에는 자라날 수 없는 문명의 잔해, 세트처럼 꾸며진 정치화된 콘크리트 공간, 그리고 그 안에 있는 인간 군상들이 등장한다. 작가는 이 모든 장면을 관조적 시점으로 제시하며, 관객이 그 풍경 속 주체가 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작품의 풍경은 불편하지만 불안하지 않고, 이질적이지만 따뜻하게 다가오는 치유의 공간이기도 하다.

김형무 작가는 “이 풍경은 나의 시점인 동시에 관객의 시점이다. 우리가 각자의 의식 속에서 갈망하는 탈출구이자 이상향이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분명히 감각되는 장소이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현실 너머에 존재하는 내면의 풍경을 새롭게 사유하고, 사회적 구조 안에서 제한된 자아와 의식의 경계를 다시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ec1cf9fb512d707f30de3e360d18730e_1752219051_6391.jpg 

현실과 비현실, 익숙함과 낯설음 사이에 존재하는 그만의 독특한 공간, ‘사이공간(헤테로토피아)’을 통해 관객에게 묵직한 사유의 시간을 그림으로 소통하는  김형무 작가의 초대전이 2025년 7월 10일부터 7월 23일까지 광화문에 위치한 '갤러리 내일'에서 열린다.

ec1cf9fb512d707f30de3e360d18730e_1752219051_6885.jpg
landscape-nowhere 30호F 캔버스위에아크릴 2021 © 작가, 갤러리 내일


ec1cf9fb512d707f30de3e360d18730e_1752219051_7437.jpg
landscape-nowhere 50호F 캔버스위에 아크릴 2022  © 작가, 갤러리 내일


이번 전시는 그만의 독특한 공간, ‘사이공간(헤테로토피아)’을 통해 관객에게 묵직한 사유의 시간을 제공한다.

김형무 작가는 현실의 틀 안에서 규격화되고 조형화된 풍경을 통해, 우리가 의식 속 깊은 곳에서 무의식적으로 꿈꾸는 유토피아적 공간을 시각화했으나 그저 낯선 풍경이 아닌 어디에도 실존하지 않지만 - 누구나 마음속에 품고 있는 풍경, 즉 ‘Landscape-Nowhere’이다.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작업 속에는 자라날 수 없는 문명의 잔해, 세트처럼 꾸며진 정치화된 콘크리트 공간, 그리고 그 안에 있는 인간 군상들이 등장한다. 작가는 이 모든 장면을 관조적 시점으로 제시하며, 관객이 그 풍경 속 주체가 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작품의 풍경은 불편하지만 불안하지 않고, 이질적이지만 따뜻하게 다가오는 치유의 공간이기도 하다.

김형무 작가는 “이 풍경은 나의 시점인 동시에 관객의 시점이다. 우리가 각자의 의식 속에서 갈망하는 탈출구이자 이상향이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분명히 감각되는 장소이다.”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현실 너머에 존재하는 내면의 풍경을 새롭게 사유하고, 사회적 구조 안에서 제한된 자아와 의식의 경계를 다시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ec1cf9fb512d707f30de3e360d18730e_1752219051_6391.jpg
© 작가, 갤러리 내일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257 건 - 1 페이지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