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성황리 폐막
본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아르코)가 주최한 문화예술 후원 축제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ART FOR;REST FESTIVAL, 이하 아포페)'이 지난 9월 6일부터 21일까지 3회에 걸친 릴레이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총 1만 2천여 명의 시민이 참여한 이번 축제는 공원, 도심, 자연을 무대로 예술 후원의 가치를 온몸으로 나누고 체감하는 장이 되었다.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1회차 전경(사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세 개의 무대, 예술 후원의 가치를 심다
아포페는 '세 개의 무대, 하나의 이야기'라는 콘셉트 아래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였다.
첫 번째 무대인 서울어린이대공원(9.6)에서는 밴드 까치산, 원슈타인, 선우정아, 김태우, 박정현 등 세대를 아우르는 정상급 아티스트들이 무대에 올라 '웰컴 키즈, 웰컴 패밀리' 콘셉트의 가족 축제를 완성했다. 우천 속에서도 관객들은 자리를 지키며 열기를 더했고, 유·무료 체험 부스를 통해 웃음과 더불어 예술 후원에 참여하는 의미를 동시에 선사했다. 1회차의 티켓 및 유료 체험 수익 전액은 아동·청소년 전용 공연장 '아르코꿈밭극장' 조성을 위한 '꿈밭펀딩'으로 연결됐다.
두 번째 무대는 대학로 마로니에공원(9.13)에서 아르코 문학주간 등과 연계된 무료 공연으로 펼쳐졌다. 벌룬쇼, 연극, 뮤지컬 쇼케이스 및 싱어롱 콘서트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이 시민들을 만나며 '연극의 메카' 대학로에 특별한 활력을 불어넣었다.
마지막 세 번째 무대는 뉴서울CC(9.21)의 노을 진 18번 홀을 배경으로 품격 있는 라이브를 선사했다. 국악 크리에이터 야금야금의 오프닝에 이어, 한정림 뮤지컬 음악감독의 자작곡을 중심으로 김선영, 김우형, 박혜나 등 정상급 뮤지컬 배우들이 협연하며 자연 속에서 펼쳐지는 특별한 감동을 선사했다. 3회차의 공연 수익 **전액은 청년 연극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연극내일기금'**으로 사용된다.
모두에게 열린 축제, 지속 가능한 내일을 약속하다
아포페는 참여가 곧 후원으로 이어지는 환원 구조를 마련하며 축제의 의미를 확장했다. 회차별 수익 환원 외에도 전 회차에서 '연극내일기금' 부스를 운영, 3,000여 명의 시민이 참여하며 자발적인 후원 문화를 만들었다.
또한 문화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등과 연계한 초대권 제공, 청년문화예술패스 할인, 미취학 아동 무료 입장 등 문화 향유의 문턱을 대폭 낮췄다. 무대에는 수어 통역사를 배치하고, 휠체어 관객을 위한 좌석 지원 등 무장애 축제를 위한 접근성 강화에도 힘썼다.
이와 함께 축제 현장 곳곳에서 친환경적인 운영을 실천했다. 1회차 '업사이클링 체험부스' 운영, 일회용기 반입 제한, 다회용기 사용 캠페인 전개는 물론, 종이 리플렛 대신 입장밴드에 모바일 QR코드를 삽입해 자원 절약을 병행했다. 제주삼다수, 아르포텐 등 다수의 기업들도 물품 후원 및 협찬에 동참해 후원형 축제의 가치를 더했다.
아르코 관계자는 "1만 2천여 명의 관객들이 예술 후원을 통한 선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며, "관객의 즐거움이 예술나무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예술위의 '예술나무 캠페인'에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
[공연] 창작뮤지컬 '청주', 개관 30주년 위상 높이며 성황리 폐막
-
[문화일반] 제66회 한국민속예술제, 울산광역시 ‘울산쇠부리소리’ 대통령상 수상
-
[문화일반]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성황리 폐막
-
[재단/단체소식] 공연예술의 창의적 홍보 역량을 키우는 교육 프로그램 ‘2025 전통예술 기획자 양성 프로젝트’ 참가자 모집
-
[공연] 전통 장단의 리듬 위에서 펼쳐지는 새로운 음악과 공연예술… 2025 한국장단음악축제 ‘장단유희’ 개최
-
[공연] 제2회 문래 시티팝 페스티벌, 27일 개최
-
[문화일반] 2025 카시아 문교협 국제무용콩쿠르 성황리 개최…국내외 참가자 교류의 장 열어
-
[공연] 대위법의 새로운 해석… 음악전시 ‘토탈 카운터포인트’ 개최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