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계천 복원 20주년 맞아 공공미술 프로젝트 ‘청계공존’ 개막
본문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기념해 10월 한 달간 청계광장부터 광교 구간까지를 무대로 공공미술 프로젝트 '청계공존: 서로를 잇는 예술의 물결’을 선보인다. 이번 프로젝트는 청계천의 역사와 생태적 가치를 예술로 재해석하고, 도시와 자연이 함께 공존하는 도시 공간을 탐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공미술 프로젝트 ‘청계공존’ 포스터
2005년 10월 고가도로를 철거하고 물길을 복원한 청계천은 지난 20년간 서울 도심 속 대표적인 재생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서울시는 이번 ‘청계공존’을 통해 복원의 성과를 돌아보는 동시에 시민들이 일상에서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프로젝트에는 국내외 작가들이 참여해 여섯 점의 주요 설치 작품을 선보인다. 이수경 작가의 《그곳에 있었다_청계천 2025》, 오브라 아키텍츠의 《커넥천 파빌리온》, 장승태의 《기억의 자리》, 전영은의 《청계초록: 눈길 손길》, 임근영·전재봉의 《청계유석》, 임정민의 《청계천 조우》 등이 청계천 일대에 설치됐다. 각 작품은 기억과 시간, 생태와 도시, 시민 참여를 주제로 청계천의 다층적인 의미를 탐구한다.
개막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이명박 전 대통령, 서울시의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청계천은 지난 20년 동안 서울의 일상과 문화를 상징하는 공간이 됐다”며 “앞으로도 도시와 자연이 함께하는 지천 르네상스 사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복원 과정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청계천은 전 세계 도시들에게 환경 보존과 도시 재생의 모델이 됐다”고 회고했다.
서울시는 전시와 함께 작가와의 대화, 도슨트 투어, 시민 참여 공모전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또한 청계광장에서는 레이저 쇼 등 경관 퍼포먼스를 통해 ‘도시와 물의 재생’을 시각적으로 기념한다.
‘청계공존’은 오는 10월 31일까지 무료로 운영되며, 서울시는 이번 행사가 “예술과 자연이 공존하는 새로운 도시 경험을 시민들에게 선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문화일반] 서울시, 청계천 복원 20주년 맞아 공공미술 프로젝트 ‘청계공존’ 개막
-
[엔터] ‘미스유니버스코리아 2025’ 개최…한국 대표 세계 무대 향해
-
[공연] 청년 실업의 상처, 연극 《획의 간극》 무대에 오른다
-
[지역소식] 14회 이북5도무형유산연합회 축제 개최
-
[공연] ‘그때 그 시절’ 국악가요의 재발견… 국립국악관현악단 ‘국악가요’ 공연
-
[지역소식] 2025 목포문화도시 문화다방프로그램 시민연극교실 발표회 – 안석환 배우와 함께하는 《대머리 여가수》 무대
-
[문화일반] 경계를 넘어 빚어낸 새로운 소리, 조훈 프로젝트 ‘제3의 공간’ 성료
-
[공연] 이생강 명인, 전승자 주관 기획 공연‘죽향‘개최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