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정, 로지은 2인전 《잠금해제》 개최 > 이주의 전시

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전시

김기정, 로지은 2인전 《잠금해제》 개최

눈 컨템포러리, 2025. 7. 23.(수) – 8. 20.(수)

본문

눈 컨템포러리는 동시대 회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전시 《잠금해제》를 2025년 7월 23일부터 8월 20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동양화에서 출발해 서로 다른 조형 언어로 나아가는 두 작가, 김기정과 로지은의 작품을 한 자리에 소개한다. 기획은 동료 작가 김민수가 맡아, 비슷한 시기를 살아가는 또래 작가들의 감각적 교류를 전시로 풀어냈다.

b7c6db559b5d2172ae3cd0f14d19deeb_1753398904_0249.jpg
김기정, Hug #33, 2021-2025, 장지에 분채, 콘테, 염색 천, 실, 53 x 56 cm  © 작가눈 컨템포러리


b7c6db559b5d2172ae3cd0f14d19deeb_1753398906_6129.jpg
로지은, Your name is Tulip, 2025, 장지에 먹, 분채, 40.9 x 31.8 cm  © 작가눈 컨템포러리


김기정과 로지은은 모두 동양화(한국화)를 전공하고, 장지, 먹, 분채, 아교 등 전통 재료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의 작업은 동양화의 엄격한 틀을 따르기보다는, 그 너머를 향해 나아간다. 완결된 형식보다 유연한 감각에, 규범적 구도보다 표현의 솔직함에 무게를 두는 태도는 이들이 전통을 ‘따르기’보다 ‘열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시 제목 《잠금해제》는 바로 이러한 태도를 상징합니다—잠긴 문을 여는 움직임, 닫힌 틀을 푸는 제스처이다.

두 작가는 같은 재료를 사용하지만 서로 전혀 다른 방식으로 그것을 풀어낸다.
김기정은 재료의 물성과 구조에 집중하며 평면에서 입체로 확장시키는 새로운 조형실험을 선보여왔다. 장지 표면에 일어난 보풀은 마치 느슨하게 풀린 실처럼 다가왔고, 작가는 그것을 화면에 적극적으로 개입시켰다. 화면 위로 솟아오른 보풀은 더 이상 결함이 아닌, 작업의 새로운 조형 언어가 된다. 작가는 사각형의 장지(혹은 순지)를 실로 연결하고, 직접 염색한 ‘편물(編物)’이나 ‘나무틀(직조틀)’을 지지체로 삼는 등의 회화 매체에 대한 실험을 이어가고 있다.

로지은은 90년대생다운 감각적 민감성과 재치있는 시선을 바탕으로, 일상의 장면과 존재들을 조용히 응시한다. 그의 화면에 등장하는 고양이, 비둘기, 박쥐, 튤립 등은 단순한 관찰의 결과가 아니라, 작가의 내면과 정서를 은유적으로 반영하는 상징적 매개로 기능한다. 특히 ‘밤’이라는 시간성과 도시의 정서는, 외로움과 고요함, 불안과 희망 같은 상반된 감정의 결을 담아내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명확한 구도나 안정된 비례보다는 감각의 유연함과 표현의 솔직함에 가치를 두는 태도는 전통적인 동양화의 틀에서 벗어난다고 할 수 있다.

기획을 맡은 김민수 작가는 이처럼 이질적으로 보일 수 있는 두 작가의 작업을 한 공간에 함께 배치함으로써, 각자의 고유한 언어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기를 바란다고 전한다. 《잠금해제》는 그렇게 두 개의 감각이 서로 교차하고 확장되는 지점을 향해 열려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관객 또한 각자의 시선과 감각으로 또 하나의 문을 ‘잠금해제’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b7c6db559b5d2172ae3cd0f14d19deeb_1753398908_9389.jpg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293 건 - 1 페이지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